활동
명예의 전당
문의
Jejucleanboysclub
/
Our Story
매일 아침 해변 청소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크래프트
해양쓰레기 전시
바다환경교육과 비치코밍
미디어 활동
명예 회원
문의하기
Jejucleanboysclub
/
Our Story
Share
활동
매일 아침 해변 청소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크래프트
해양쓰레기 전시
바다환경교육과 비치코밍
미디어 활동
명예의 전당
명예 회원
문의
문의하기
Our Story
Gallery view
Search
2020년 10월 제주도 게스트하우스에서 만난 친구와 하도해수욕장 청소를 시작
일상적인 실천을 위해 매일 아침 같은 시간에 바닷가를 청소했고 한 시즌에 100일, 다섯 시즌 동안 진행하였고, “우리들의 놀이터 하도해변을 지키자” 라는 슬로건을 세워 (@jejucleanboysclub) 인스타그램을 운영중 입니다.
청소 후 기념사진을 업로드 하여 기록했으며, 참여를 희망하는 제주도민, 여행객, 지인들과 함께 하였습니다. 해당 활동 성과를 인정받아 <2040 플라스틱 제로 섬 제주 범도민 추진위원> 으로 임명되었고, 환경교육도시 선언식에 모델로 참여하였습니다.
•
활동기간 : 제주클린보이즈클럽 시즌 1~5
•
활동성과 : 530일의 청소, 21톤+의 해양쓰레기 수거
•
참여인원 : 누적 1,853명
•
투입비용: 100만원
매일 아침 해변 청소 (Daily beach cleanup)
플라스틱 재활용을 도모하기 위해서 폐 플라스틱을 업사이클링 하여 열쇠고리 작품으로 재탄생.
주변인들과 사업장, 거주단지로 부터 폐 플라스틱을 수거하여, 직접 세척 부터, 분류, 파쇄, 사출 작업을 하였습니다.
2020년 12월과 2021년 7월 두 차례에 걸쳐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에 작업물을 납품 하였고 그 후에는 세이브제주바다, 지구별가게 등 제주도내 다수의 기관 및 사업체와 협업하여 아이템을 제작 및 판매하였습니다.
각종 행사에서 체험부스 운영 및 기계 작동 시연을 통해 많은 시민들에게 플라스틱의 재활용 가능성을 보여 드렸습니다.
주요 성과:
1.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 <반구대 바위그림: 고래의 여행>
전시 기념품 200세트 제작
2.
지구별가게 - 해마 업사이클 행주걸이 제작
3.
세이브제주바다 – 플라스틱 부표 업사이클 열쇠고리 1,000개 제작 & 업사이클 체험교육 12회
4.
도담스튜디오: 멸종 위기종 구상나무 열매 업사이클 키링 제작
5.
제주러닝크루 x 강정마을: 물고기 업사이클 메달 제작
6.
<2022 삼다공원 야간콘서트> 4주간 체험부스 운영
플라스틱 업사이클링 크래프트 (Plastic Upcycling Craft)
제주 바닷가에서 청소를 하며 수집한 1970년대 라면봉지, 북한 치약 등을 포함한 <쓰레기 콜렉션>을 시작으로, 해양쓰레기의 활용 가치와 가능성을 보여주는 다양한 작품을 제작하고 여러장소에서 전시
2021년 5월 제주공항을 시작으로 2022년 4월 제주해녀박물관에서 전시하였고, 2022년 12월에는 베트남 호치민 경제대학교의 초청으로 ‘Ready for Next 2022’ 컨퍼럼스에 참여, <Voice from Ocean>의 제목으로 전시 하였습니다.
바다를 통해 하나로 이어진 지구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였고, 추후 제주도에 돌아와서 제주해녀박물관, 한라 도서관, 탐라 도서관, 고요산책에서 <Voice from Ocean> 전을 연장 전시하였습니다.
해양쓰레기 관련 전시 12회
•
2021.5 제주국제공항 상설전시관 <쓰레기 콜렉션 전시 v0.1>
•
2021.8 문화도시제주 <해양쓰레기 본부> 전시 참여
•
2021.10 제주올레길 16코스 야외 전시 <Our Play Ground>
•
2022.4 제주해녀박물관 <해안 쓰레기 콜렉션> 전시
•
2022.9 제주청년센터 문화예술공간 개소식 <2022 청년작전> 전시 참여
•
2022.12 베트남 호치민 경제대학교 컨퍼런스 ‘Ready for Next 2022’, <Voice from Ocean> 전시
•
2023.3 고요산책 <Voice from Ocean> 연장 전시
•
2023.4 제주해녀박물관 <Voice from Ocean 부표행성: 바다로부터> 연장 전시
해양쓰레기 전시 (Exhibition on Ocean Waste)
제주도내 초중고, 대학생까지 해양쓰레기 문제와 처리현황, 새활용 방법을 교육하는 수업을 진행
2021년 7월 부터 총 52회의 수업을 통해 850여명의 학생들을 만났고, 세이브제주바다 팀과 협업하여 환경교육 프로그램도 진행하였습니다. 아이들에게 수집한 <쓰레기 콜렉션>을 보여주고 직접 바닷가에 나가서 보물찾기 같은 비치코밍 (beachcombing)도 하며, 주운 쓰레기로 미술 활동도 하며 놀이를 통한 교육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2021. 7.2 표선 초등학교 2학년 1 & 2반 (온라인)
2021. 10.27-28 수산 초등학교 전교생
2021. 12.20, 22 애월 중학교 2학년 1반 & 3반
2021. 12.28 팸랩 제주 워크샵
2022. 4.19-26 조천 초등학교 4,5,6학년 3회
2022. 5.3 애월 중학교 1학년 3,4반
2022. 5.24 애월 중학교 2학년 전체
2022. 5.27 조천초 6학년 1,2반 (세제바 센터/업사이클링)
2022. 6.21 신창 중학교 1학년 1반
2022. 6.22 한마음 초등학교 4학년 2반
바다환경교육과 비치코밍 (Beach combing)
Loading PDF…
수산초등학교
명예 회원
장소 : 애월 신엄포구 (올레길 16코스 중)
일시 : 2021.10.8 ~ 2021.10.11
도움 : 제주청년센터, 애월읍사무소
쓰레기 줍기를 하며 하나씩 수집해온 <쓰레기 콜렉션>으로 야외 설치전시를 열었습니다!
신엄포구(고내리포구) 옆 올레길 16코스를 산책하면서 만나요
올레길 군데군데 비치된 유리병에 QR 코드를 확인해보세요!
Click to Image
쓰레기 콜렉션 전시 : OUR PLAYGROUND
KCTV 제주방송
제주도 내외 여러 방송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라디오에 출연하였고, 신문과 잡지 인터뷰에 응하며 제주도 환경과 해양쓰레기 문제를 널리 알리는 노력을 하였습니다. 다만, 문제를 알리는데 그치지 않고 희망적인 부분, 가볍고 즐겁게 실천하는 모습을 전파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2023년 4월에는 인스타그램에 업로드한 함덕해수욕장 담배꽁초 줍기 사진이 ‘바이럴’이 되어 “돌 반 꽁초 반” 이라는 제목으로 헤럴드경제 뉴스 포함 여러 포털 사이트 기사 1위에 오르고 뉴스에 소개가 되었습니다.
2021.3 KBS제주 <콘텐츠 안테나: 제로웨이스트> 방송 패널
2021.3_KBS제주 라디오 <살앙조은 제주> 정연철 작가 인터뷰
2021.6 KCTV 스페셜 <청정제주바다를 지켜라 : 1부 제주클린보이즈클럽>
2021.8 EBS 교양 <다시 인생, 죽기 전에 꼭 한번: 황보, 바다 쓰레기 청소에 나서다>
2021.10 제주시정지 열린제주시 10월호 <제주사람이 좋다> 인터뷰
2021.12.20 TBN제주교통방송 <제주매거진: 제주클린보이즈클럽 정연철>
2022.1 KBS제주 보물섬<오늘부터 쓰담쓰담 : 제주클린보이즈클럽 1편>
2022.2 SBS 일요특선다큐멘터리 [내 삶에 깃든 미래, 재생에너지] 출연
2022.4 Goal Studio 브랜드 캠페인 <Greater, Together #3 제주클린보이즈클럽>
2022.4 KBS제주 현장 속으로 <제주바다의 오늘, 해안쓰레기 콜렉션>
기후 위기 속 희망을 전파하는 미디어 활동 (Media activities)
문의하기